가을 유행 전염병인 ‘쯔쯔가무시증’과 ‘노로바이러스’ 환자가 최근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군산시보건소는 20일 가을철 및 다가오는 김장철에 유행하는 쯔쯔가무시증과 노로바이러스 감염 등 예방을 위해 예방수칙 준수 등을 당부했다.
실제로 지난 8일 기준 올해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17명으로 전체 환자 중 82.4%가 가을철에 발생했다.
◇쯔쯔가무시증 ⇒ 3급 법정감염병으로 쯔쯔가무시균을 보유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발생하며 물린 자리에 검은 딱지(가피)가 생기고 치명률을 높지 않지만 증상의 강도가 높은 편이다.
쯔쯔가무시증 등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긴팔, 긴바지, 장갑, 목수건 등을 착용하여 피부 노출 최소화 ▲풀밭에 앉을 때는 돗자리 사용 ▲귀가 즉시 옷을 털어서 세탁 ▲야외활동 후 몸 전체를 꼼꼼하게 씻기 등을 준수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 주로 기온이 떨어지는 11월부터 이듬해 봄인 4월까지 많이 발생하는데, 오염된 굴이나 채소 등을 날것으로 먹거나, 오염된 지하수를 직접 마시게 되면 감염 위험성이 높고 감염 환자와 접촉했을 때도 쉽게 감염이 된다.
특히 김장철에 소비하고 섭취하는 ‘굴’이 원인의 하나로 제기되는 상황으로, 감염되면 보통 1~2일의 잠복기를 거쳐 구토, 설사, 복통 오한,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노로바이러스는 소량의 바이러스만으로 감염될 수 있을 정도로 전파력이 강하기 때문에 예방수칙 준수가 더욱 중요하다.
예방수칙은 ▲올바른 손 씻기 생활화 ▲음식 충분히 익혀 먹기 ▲물은 끓여 마시기 ▲채소, 과일은 깨끗한 물에 충분히 씻어 먹기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 조리 및 준비 금지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등이 있다.
또한 출하 전 검사 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된 굴은 ‘가열조리용’으로 분류해 유통하므로 가열조리용으로 표시된 굴은 85℃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하여 안전하게 섭취하도록 한다.
만약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이 발생했을 경우, 환자의 분변 또는 구토물에 오염된 물품이나 접촉한 환경 및 화장실 등에 대해 올바른 절차로 소독을 시행해야 한다.
보육시설이나 학교 등에서 환자가 발생했다면, 증상 소실 후 48시간 이상 등원, 등교 및 출근을 제한하고 가정에서도 환자와 공간을 구분해 생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보건소 관계자는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밤 줍기 등) 후 발열, 오한, 근육통 등의 쯔쯔가무시증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에 방문해 적기에 치료를 받도록 하며,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하게 조리한 음식을 섭취하며, 올바른 손 씻기 등 예방수칙을 잘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