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타임즈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스포츠·건강

전북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장

경제적 파급 효과 42조원, 취업 유발 효과는 47만명 전망

전성룡 기자(jsl021@hanmail.net)2024-11-08 09:39:25

 

전북특별자치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에 도전장을 내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지난 7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2036 하계올림픽 유치로 전북은 세계와 함께 도약하고, 지구촌 평화와 번영을 기원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라며, “전북이 가진 자원과 역량을 결집해 전통과 혁신이 어우러진 미래형 올림픽을 실현하겠다”고 유치를 공식 선언했다.

 

전북의 비전을 ‘세계를 맞이하는 전통과 미래의 향연’으로 정했으며, 전북이 가진 풍부한 문화자원과 첨단미래 기술을 기반으로 ‘저비용·고효율’ 대회를 준비하겠다는 구상을 밝혀 관심을 끌었다.

 

특히, 이날 전북도는 전통문화와 첨단기술을 접목해 문화유산을 전 세계에 알리고, 자연과 미래가 공존하는 혁신적인 축제의 장을 만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전북도가 제시한 올림픽의 핵심 개념은 3S(스마트 디지털·지속 가능성·사회적 화합)과 4W(하드웨어·소프트웨어·스마트웨어·휴먼웨어)이다.

 

전북도는 디지털 혁신으로 효율적 운영, 친환경 인프라를 활용한 지속 가능 대회, 전 세계가 참여한 사회적 화합을 거듭 강조했다. 하드웨어(친환경 미래도시 인프라), 소프트웨어(K-컬처 문화 확산), 스마트웨어(AI와 빅데이터를 통한 사용자 경험 혁신), 휴먼웨어(협력과 연대 중심의 거버넌스)로 새로운 형태의 올림픽을 제시했다.

 

올림픽 유치 시 경기장은 저탄소·저비용 건축 방식으로 설계되며, 기존 경기장 22곳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자원 낭비를 최소화해 지역균형발전 토대를 마련한다는 계회을 밝히기도 했다.

 

경기장 11곳은 탄소 저감 목조 건축물로 임시 건립하거나, 관중석을 설치해 경기를 개최할 예정이며, 주요 경기장 간 이동거리는 평균 33㎞로 제한해 이동 편의성을 높일 예정이다. 아울러 광주·대전·충남 등 인접 도시와 협의해 수영(광주 남부대), 양궁(광주 국제양궁장), 테니스(충남 국제테니스장) 경기장을 공동 사용하기로 했다.

 

주 경기장은 전주월드컵경기장을 증축해 사용하고, 스마트 교통시스템 ‘J-Easy Path’를 구축해 경기장, 선수촌, 미디어센터를 잇는 최적의 교통편의를 제공한다. 소요 예산은 10조2,905억으로 추산된다.

 

전북도는 국비 2조278억원, 지방비 7,360억원, 공공기관 2조6,202억원, IOC 지원금 및 스폰서십 3조665억원, 사업수익 8,047억원, 기타 라이선스·기부금 등 1조353억원 등의 조달 계획을 내놨다. 경제적 파급 효과 42조원, 취업 유발 효과는 47만명으로 전망했다.

 

김관영 지사는 “1년 반 전부터 올림픽 유치를 준비해 왔다”라며, “지금 전북 역량은 1988년 서울의 역량보다 훨씬 크다고 생각한다”며 유치에 강한 의지를 나타났다.

 

전북도는 오는 12일까지 대한체육회에 유치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2036하계올림픽은 7월 28일부터 8월 12일까지 17일간 열리며, 대한체육회는 평가위원회와 국제위원회, 이사회, 대의원총회 등의 절차를 밟아 후보 도시를 최종 선정하게 된다.

 

한편, 전북도는 단독 개최가 어렵다면 서울시와 공동 개최도 고려하고 있으며, 지역 특색에 맞는 종목을 분산 유치한다는 전략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카피라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