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타임즈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사회·경제

군산 텅빈 상가, '비상등' 켜져

1분기 군산중대형 상가공실률 22.9%, 소형상가도 ‘썰렁’…경제침체에 임대료 부담가중

군산시, ‘공공임대 상가·청년 창업 지원’ 등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방안 논의

유혜영 기자(gstimes1@naver.com)2025-05-13 09:42:00

군산시의 상권이 빠르게 텅 비어가고 있다. 비단 중대형 상가만의 문제가 아니다. 소형 점포들까지 줄줄이 폐업하거나 임대를 내걸고 있지만, 묵묵히 붙어 있는 '공실' 안내문만이 거리를 채우고 있다.  


최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군산시 수송·조촌동 일대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2025년 1분기 기준 22.9%로 나타났다. 이는 전 분기(2024년 4분기)보다 1.2%p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시민들은 "이보다 체감 공실률은 훨씬 심각하다"고 입을 모은다. 작은 매장조차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자영업자는 “장사가 안 되는데 월세는 그대로다. 한 달에 몇백만 원씩 나가는 임대료가 너무 버겁다”며 “새로 들어오겠다는 사람도 없고, 나가겠다는 사람만 많다”고 현실을 토로했다.  


이에 군산시는 최근 ‘상가 공실률 해소를 위한 대책 회의’를 열고 관련 부서 8곳과 머리를 맞댔다. 회의에서는 공실률의 원인으로 ▲인구 감소 ▲임대료 부담 ▲낙후된 상권 구조 등이 지적됐고, 해결책으로 ▲공공 임대 상가 조성 ▲청년 창업 지원 ▲예술 공간 활용 등이 제시됐다.  


특히 공공이 빈 점포를 임차해 창업자에게 저렴하게 제공하는 ‘공공임대 상가 모델’은 군산시가 중점 검토하고 있는 대안 중 하나다. 또, 청년 창업자에게 일정 기간 임대료를 보조하거나, 문화예술인에게 전시·작업 공간으로 개방하는 활용 방안도 논의됐다.  


이헌현 일자리경제과장은 “상가 공실 문제는 단순한 부동산 이슈가 아니라 지역 경제, 나아가 공동체의 활력과 직결된 문제”라며 “현실에 맞는 실효성 있는 대책을 부서 간 협력을 통해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지금은 단순히 ‘빈 상가에 누굴 넣을까’가 아니라, ‘왜 비었는가’를 근본적으로 짚고 가야 할 시점”이라며, “도시 구조 개편, 유동인구 분석, 업종 재배치 등 중장기적인 전략도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현재 군산시는 관련 데이터를 계속해서 취합 중이며, 하반기 내 상가 공실 대응 종합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텅 빈 상가의 불이 다시 켜지기 위해선, 지역경제 전반의 숨통을 틔울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때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카피라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