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자 군산시의회 의원이 치매환자들을 위한 보다 나은 정책을 제안하며, 군산시가 치매환자도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도시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28일 열린 제272회 군산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치매 환자의 증가와 그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언급하며, “시가 더 나은 정책과 대응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최근 치매 환자 실종 사례와 그 가족들의 극단적 선택 기사 빈도가 증가하며 사회적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경고했다.
김 의원은 중앙치매센터의 2023년 자료를 인용, 60세 이상 인구의 약 10%가 치매를 앓고 있으며, 2024년 군산시 60세 이상 인구가 10만 명을 넘어서면서, 추정되는 치매환자 수는 6,047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또한, 경도인지장애를 겪고 있는 시민은 16,028명에 달하며, 실제 치매 환자 수는 추정치일 뿐, 그 정확한 숫자는 파악되지 않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치매 환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고통은 더 커질 것”이라며, “시가 치매로부터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중증도별 예산 편성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시민이 치매 검사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거나, 지원을 받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25년 뒤 군산시의 치매 환자가 현재보다 3배 많은 2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검증되지 않은 사업을 따라가기보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도움이 되는 정책을 발굴해 상황에 맞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라며, “치매 문제를 더 이상 개인이 감당해야 할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