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타임즈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정치·행정

“군산항,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대책 마련돼야”

지해춘 의원, 국가관리무역항으로서 정상화 촉구 건의안 발의

유혜영 기자()2024-09-26 17:45:55

 

 

 

지해춘 군산시의원은 국가관리무역항인 군산항이 항만으로써의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군산시의회(의장 김우민)는 26일 제267회 임시회 폐회 중 지 의원이 발의한 ‘국가관리무역항 군산항의 정상화를 위한 대책 마련 촉구’ 건의안을 관계기관에 송부했다.

 

이날 지 의원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항은 부산·인천·목포항에 이어 마산항과 함께 전국 4번째로 문을 연 국가관리무역항이지만, 현실은 전국 항만 물동량의 1.5%(전북특별자치도 내 수출 물동량의 약 10%와 수입 물동량의 약 60%)를 처리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도내 수출입 업체의 군산항 이용률은 5% 미만으로서 항만 이용실적은 처참하기만 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군산항은 국가관리무역항임에도 불구하고 항로와 정박지의 심각한 토사 매몰 현상에 대해 정부가 준설 의무를 제대로 이행치 않아 항만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금강하구둑의 수문 개방과 서해안 갯벌의 지형적 여건으로 매년 군산항에는 300만㎥씩 토사가 매몰되고 있다”면서, “하지만 유지준설을 위한 예산은 고작 100억원으로서 100만㎥밖에 준설을 하지 못해, 매년 200만㎥의 토사가 계속 쌓여 항로와 정박지의 수심 악화는 나날이 심해져 가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지난 7월 말 기준 군산항의 물동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6% 정도 감소하였고 특히, 자동차 물동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30%인 274만 톤이 줄어들어 큰 타격을 받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군산항의 항로와 정박지의 수심은 계획 수심보다 턱없이 낮아 대형 선박들의 70% 이상이 조수 대기의 경험이 있고, 대기에 따른 물류비용 증가로 선박을 운영하는 선주, 하역사, 화주 등 국민들은 재산상의 피해를 입고 있다”라면서, “오죽하면 군산항이 아닌 평택항, 목포항 등 다른 항만으로 뱃길을 돌리겠냐”라고 성토했다.

 

지 의원은 특히 “이런 상황 속에서 군산지방해양수산청은 무엇을 하고 있냐”라며, “군산지방해양수산청 개청 이후 청장 23명의 임기는 평균 1~3년에 지나지 않고, 재직기간 1년 미만의 청장이 30%나 되는 현실에서 정부에 대한 적극적인 준설예산 증액 요구나 군산항의 장기 발전에 대한 계획은 시작도 못 해보고 좌초돼왔을 것이 뻔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군산항의 쇠퇴는 군산시민들의 삶의 터전을 앗아가는 것으로서 지금도 수많은 항만인은 매일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군산시의회는 국가관리무역항인 군산항이 항만으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준설예산 100억 원으로는 한 해 쌓이는 퇴적토 3분의 1밖에 처리할 수 없으니 정부는 군산항 준설예산을 대대적으로 증액할 것 ▲정부는 군산항의 안정적인 항로 및 정박지 수심 확보를 위해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군산시의회는 건의문을 대통령비서실장, 대한민국국회의장, 대한민국국회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대한민국국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각 정당 대표, 기획재정부장관, 해양수산부장관, 군산지방해양수산청장,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전북특별자치도의회의장에 송부했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카피라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