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가 줄곧 주장해온 ‘새만금신항 원-포트(One-Port) 무역항 지정’이 마침내 현실이 됐다. 하지만, 시와 지역사회의 입장에서 보면, 이는 놀랄 일도, 예상 밖의 결과도 아니었다. 당연한 결정이었다.
군산시에 따르면 5월 2일 해양수산부 중앙항만정책심의회는 항만분과심의회를 통해 새만금신항을 국가관리무역항으로 지정하고, 군산항과 통합해 ‘원-포트’로 운영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시는 이번 결정을 두고 “군산시민의 오랜 염원이자, 해양 물류 환경의 현실을 반영한 당연한 결과”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새만금신항의 원-포트 지정은 단순한 항만 행정 절차를 넘어서 군산항의 미래 경쟁력을 가늠할 중대한 분수령이었다. 시는 그동안 새만금신항이 군산항 수심 저하 문제를 보완하고, 대형 선박 접안이 가능한 현대적 부두 시설을 갖춘다는 점에서 기존 항만의 기능을 확장·보완하는 필수 인프라임을 강조해왔다.
또한, 새만금신항은 군산시 옥도면 두리도와 연계된 지역으로, 행정구역상 군산시에 속하며 기존 군산항의 해상 관할권 내에 위치하고 있어 ‘하나의 무역항’으로 통합 운영하는 것이 지리적·행정적으로도 당연하다는 주장을 꾸준히 펼쳐왔다.
시는 이번 결정으로 군산항과 새만금신항을 통합한 항만기본계획 수립이 가능해졌으며, 항만 기능 재조정과 시설 수요 예측을 통해 과잉 경쟁을 방지하고, 특화 전략을 기반으로 한 신규 물동량 유치 등 지속가능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이번 결정을 끌어내기까지 지역사회도 한목소리를 냈다. 군산시 어촌계, 전북서부항운노조, 군산항발전협의회, 군산새만금지킴이 범시민위원회, 군산시의회 새만금특별위원회 등은 대규모 집회와 서명운동, 결의대회 등을 통해 원포트 지정의 필요성과 정당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원-포트 지정 이후 후속 행정 절차로 항만법 시행령 개정과 항만기본계획 고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해수부의 새만금신항 원-포트 운영 지정은 항만 운영권에 대한 결정이며, 내년으로 예정돼 있는 중앙분쟁조정위원회의 방파제 관할권 결정이 남아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과 결집된 목소리가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